울산 갈매봉 & 진달래군락지 도보여행 2014.3.23(일) / 혼자서 아리랑고개 - 오치골 쉼터(운동시설) - 갈매봉 - 오봉산 진달래군락지 - 약천사 - 물청천 - 아리랑고개 출근길에 오봉산 진달래 군락지의 진달래꽃 개화상태를 알고 싶어서 시작한 산행길.... 아랫율동에서 아리랑고개까지 차량으로 접근하여 아리랑고개에서 체육공원 .. 妙行도보길 2014.03.24
<포항 중명 생태숲 감사나눔 둘레길&>길동무 프로그램 후기 <포항 중명생태숲 감사나눔둘레길 & >길동무만들기 자율프로그램 <도보일 - 2014.3.22일(토요일)> <참가자 - 行雲 & 無我님> <도보코스> 아랫부조(부조정입구) - 부조정 - 솔숲오솔길 - 해넘이전망대 - 옥녀봉 - 빛누리 에코타워 - 연일읍민운동장 - 인주교차로- 택전1리 - 중단1.. 妙行도보길 2014.03.23
<상족암 트레킹 & 좌이산 달빛산행>길동무 프로그램 후기 <경남 고성 상족암 트레킹 & 좌이산 달빛산행>길동무 프로그램 후기 <도보일 - 2014.3.15일(토)> <참가회원 - 무아님, 行雲> <도보코스> 송천참다래마을 - 솔섬 진달래 둘레길 - 송천참다래마을 - (차량이동) - 맥전포항 - 상족암 - 맥전포항 -(차량이동)- 청룡교 - 청룡사 - 천수천.. 妙行도보길 2014.03.16
<진해 드림로드 1.2구간>도보여행 <도보일 - 2014.3.2(일)> <도보코스> 진해구민회관 - 장복산조각공원 - 삼밀사 - 진해드림로드(장복 하늘마루 산길) - 안민데크로드 - 진해드림로드(천자봉 해오름길) - 청룡사 - 천자암 - 천자봉 해오름길 종점 - 드림파크 생태숲 - 광석골 쉼터 - 드림파크주차장(20km) <길동무프로그.. 妙行도보길 2014.03.03
해운대 달맞이길 & 동해남부선(폐선)철도길 도보여행 2014.2.25(화) 송정해수욕장 - 구덕포 - 동해남부선(철도) 폐선길 - 청사포 - 동해남부선 폐선길 - - 미포 - 달맞이길 - 송정역(폐역) - 송정해수욕장(약10km/ 3시간소요) 08시40분 - 송정해수욕장을 출발합니다. (구덕포 방향) '송정'이라는 이름은 죽도 앞 거북바위에 서 있는 일송정에서 따왔다고 .. 妙行도보길 2014.02.27
(울산) 송정호수공원 둘레길 도보여행 2014.2.16(일)/ 行雲. 無我님 농소공영차고지 - 차일3길 - 바탕재 - 무룡산 임도 - 달령 진달래군락지 - 달령재 - 송정호수공원 데크길 - 송정입구 울산 북구에 있는 송정저수지를 한바퀴 돌 수 있는 산책로 조성공사가 마무리 단계입니다. 조성공사가 완료되면 송정저수지는 <송정호수공원&g.. 妙行도보길 2014.02.17
월내역에서 남창역까지 해파랑길따라 도보여행 2014.02.09(일)/울산도보여행클럽(길동무만들기자율프로그램) 월내역 - 길천삼거리 - 온곡교 - 효암천 둑방길 - 연산교 - 신리삼거리 - 신리항 - 신암항 - - 나사해변 - 나사항 - 평동항 - 간절곶 - 송정 대송항 - 송정항 - 송정공원 - 솔개공원 - - 솔개해변 - 대바위공원 - 진하해변 - 명선교 - 남창.. 妙行도보길 2014.02.11
불국사역에서 경주역까지 산길따라 도보여행 2014.02.03(월)/울산도보여행클럽(길동무만들기 자율프로그램) 불국사역 - 구정동 방형분 - 능선길 - 경주시 종합자원화단지 - 명활산성 - 진평왕릉 - 황복사지 - - 능지탑 - 낭산 마애보살삼존좌상 - 최치원 독서당 - 미탄사지 - 경주 동궁과 월지 연꽃단지 - 경주역(7시간 소요) 불국사역에서 .. 妙行도보길 2014.02.04
구룡포 말목장성 옛길 & 호미곶 감사둘레길 도보여행 2014.1.26(일) / 참가인원 6명/ 흐린 후 갬 <구룡포 공영주차장 - 구룡포초등학교 - 말봉재 - 말목장성 전망대 - 발산 봉수대(마봉루) - 상정 임도삼거리 - - 흥환임도 삼거리 - 명월산 산불감시탑 진입로 입구 - 호미곶 감사둘레길 연결 오솔길 - 나눔쉼터 - 가족쉼터 - - 포스코 패밀리연수원 - .. 妙行도보길 2014.01.27
<경주 왕의 길1> 반월성 - 명활산성 - 보불로 삼거리 경주 <왕의 길> 길동무만들기 프로그램 도보여행 왕의 길 안내 이 길은 신라의 시작부터 조선후기에 이르기까지 경주와 감포, 장기와 경주를 이어주던 길입니다. 이 길은 사람과 문화를 이어주던 곳이지만, 왜구가 침략하던 주된 통로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 길에는 많은 이야기들.. 妙行도보길 2014.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