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학가산 용흥사 2009.9.13 안동시 서후면 자품리 813번지 학가산 남쪽 복지봉 기슭에 위치한 용흥사는 창건에 관한 자료는 남아 있지 않지만 안동지방에서 가장 큰 사찰이었다고 한다. 광흥사의 문화재로는 보물 제314호 취지금니묘법연화경과 보물 제315호 백지묵서묘법연화경이 있는데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도되.. 山寺순례 2009.09.15
제천 월악산 상덕주사 덕주사 극락보전과 마애불이 있는 곳을 옛이름을 따서 상덕주사라고 표현해 보았다. 덕주사에서 영봉으로 가는 등산로를 따라서 1.5km를 걸어 가면 있다.(차량통행불가) (극락보전앞 석탑) (극락보전에서 바로 본 풍경) 山寺순례 2009.09.14
제천 월악산 덕주사 덕주사는 신라 진평왕 9년(서기586)에 창건되었다. 당시에는 월형산 월악사였으나 신라 경순왕이 천년 사직을 고려 왕건에게 내준 뒤에 경순왕의 첫째딸인 덕주공주가 이 곳에 들어와 높이 13m의 거암에 마애불(보물406호)을 조성하고 신라의 재건을 염원하며 일생 을 마친 그 뒤로 산 이름을 월악산으로.. 山寺순례 2009.09.14
제천 월악산 보덕암 2009.9.12 제천시 덕산면 수산리 월악산 기슭에 위치한 보덕암은 창건 등에 관한 알려진 내용이 없다. 수산교에서 약1.5km를 좁은 시멘트도로를 따라 올라가면 차량이 몇대가 주차할 수 있는 소형주차장이 있다.(소형차량만 통행가능) 대웅전을 중심으로 좌우에 보덕선원과 요사채가 있고 고지대에 위치.. 山寺순례 2009.09.14
제천 월악산 신륵사 2009.9.12 제천시 덕산면 월악리803-5번지 월악산 기슭에 위치한 신륵사는 신라 진평왕 4년(582년) 아도화상이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절에서 월악산을 조망하는 풍광이 멋지다. 국립공원 신륵사지구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월악산 등산로를 따라 약 100m정도 걸어가면 된다. 사천왕상이 모셔져 있지 않.. 山寺순례 2009.09.14
단양 제비봉 오성암 2009.9.12 충북 단양군 단성면 장회리 산 14번지 제비봉 기슭에 자리잡은 오성암은 속세로부터 벗어난 깊숙한 산중에 있다. 1960년대에 창건한 사찰인데 현재 미륵종에 소속되어 있다고 한다. 도로변에 있는 이정표를 보고 주차를 하고...(차량통행불가) 도로변의 암릉이 절경이다. 철제 다리를 건너고 골.. 山寺순례 2009.09.14
영주 소백산 성혈사 성혈사(聖穴寺)는 영주시 순흥면 덕현리 277번지 소백산(小白山) 국망봉아래 월명봉 남쪽 기슭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이다. 성혈사는 신라의 고찰임이 분명하지만 이상하게도 자세한 연혁이 전하지 않는다. 의상 대사(625~702)가 초암사에서 수도하던 중 장소가 좁아 이.. 山寺순례 2009.09.11
영주 소백산 초암사 초암사(草庵寺)는 영주시 순흥면 배점리 525번지 소백산(小白山) 국망봉 남쪽 계곡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의 말사이다. 초암사는 의상 대사가 부석사 터전을 보러 다닐 때 초막을 짓고 수도하며 임시 기거하던 곳이었으며, 부석사를 지은 후 이곳에 절을 세웠다고 한다. 당시 쌓.. 山寺순례 2009.09.11
제천 와룡산 고산사 고산사(高山寺)는 제천시 덕산면 신현리 1653번지 와룡산 정상부근 반장재에 자리하고 있다. 와룡산이라고 표시하고 있지만 절이 있는 곳은 현재의 지명으로는 월형산(해발526m)이다. 신현주유소앞에서 산길로 약1km를 올라가야한다.(시멘트포장의 좁은 임도이나 차량통행 가능함) 고산사는 875년(신라 .. 山寺순례 2009.09.11
청도 화악산 도솔암 청도 화악산 도솔암은 적천사와 마찬가지로 청도 남산에 위치해 있다. 적천사에서 오솔길을 따라서 0.9km를 걸어서 올라가야 한다.(차량 통행불가) 도솔암은 적천사에 소속된 아담한 암자지만 도솔암에서 바라보는 풍광은 가히 선경이다. 스스로는 작은 모습을 하고 있지만 산하대지를 포용하고 있다.. 山寺순례 2009.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