妙行도보길

울산 곡연마을에서 사연호 둘레길 & 연화산 원점회귀산행

행운57 2013. 3. 17. 14:34
728x90

 

2013.03.16. 토

 

곡연마을(곡연회관) - 사연호둘레길 - 한실마을 - 반구대마을 - 칩청정 - 연화산 등산로 - 연화산임도 - 망성임도 -

한실재 - 망성임도 - 사연호둘레길 - 곡연마을(원점회귀/9시간 20분 소요)

 

산행출발지인 곡연회관은 울주군 범서읍 사연리 곡연마을 도로변에 있다. 사연호둘레길이 있다는 정보, 하나만 가지고 시작하는 도보길은 설렘으로 가득하기도 하지만, 처음 들머리를 찾는게 그리 쉽지는 않다.

 

곡연회관앞 도로변에 주차를 하고...사연호둘레길과 연화산 임도길을 잇는 원점회귀 산행을 시작한다. 

대방골길로 들어서자 도로 양쪽으로 부추를 재배하는 하우스 시설들이 들어서 있다. 싱싱한 부추가 가득...

 

외딴 농가를 지나 산길로 접어들자 제일 먼저 반기는 건 진달래꽃...

 

비스듬히 산허리를 돌아서 능선 안부로 올라선다.

 

사연호와 연접하여 산허리를 돌아가는 둘레길에서 사연호와 조우한다. 자연에서 아름다움을 찾아내고 그것을 내 안에

담을 수 있는 능력이 바로 자연에서 행복을 누리는 길이다.

 

이 길에는 생강나무가 많이 보인다. 꽃향기가 은은하게 풍겨온다.

 

영혼을 촉촉히 적셔주는 좁고 굽은 오솔길...

 

좁은 골짜기를 건너서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올라 가야 길찾기가 쉬운데, 우리는 울산오바우 시그널을 보고 좌측길로

올라 갔다. 우측길로 갔다면 곧바로 임도에서 계곡길을 따라 사연호로 접근이 가능한데 우리는 좌측길로 갔기때문에

얼마간의 알바를 해서 사연호로 내려섰다. 물론 그 힘든 과정에 오히려 희열을 맛보게 하지만...

 

그 힘든 비탈길에서 만나는 진달래는 더욱 더 곱다.

 

사연호 물길을 거슬러 올라간다. 향기님! 힘들게 해서 미안...

 

이 깊은 곳에 외딴 농막 하나... 임도에서 계곡으로 길이 나게 된 것은 바로 이 농막때문인 것 같다.

 

인기척이 없는 농막을 지나 계곡을 접어들자 노루귀가 방긋 웃는다.

 

분홍노루귀에 이어 흰노루귀가 낙옆속에서 고운 자태를 뽐내고 있다.

 

무릎을 꿇고 기도하는 자세로 사진을 촬영한다.  대지의 신선한 기운이  온 몸으로 전해져 온다.

 

아~~~현호색도 피었구나.

 

같은 듯 다른 느낌의 꽃들을 본다.

 

힘들게 길없는 능선으로 치고 올라와 봉우리 근처에서 보춘화(춘란)와 조우한다.

춘란이야 쉽게 볼 수 있지만 꽃을 피우고 있는 춘란을 보기란 쉽지 않아서 기쁨이 샘 솟는다.

 

 

한실마을로 내려가는 능선길 낙엽더미에서 고운 자태를 드러내고 있는 노루귀...

 

줄기에는 보송 보송한 솜털을 달고서 겨울을 이겨낸 그 위대한 순간을 본다.

 

처음 가 본 한실마을...시골 정경이라기엔 건물이 너무 현대식이다.

 

길옆엔 홍매화가 피어나고...

 

이에 질세라 청매화가 만개한다.

 

그리고 길가에 작고 앙징맞은 꽃...큰 개불알풀이 꽃을 피웠다.

그 작은 꽃에 크다는 표현은 무슨 뜻인지, 그 앙징맞은 꽃이 개불알이라는 파격적인 이름은 또 무엇인지...

 

반구대마을로 넘어가는 한실길 도로변에서 만난 괴불주머니...

 

한실마을에서 반구대마을까지 사연호 둘레길을 찾아보고 싶었지만, 곡연마을에서 3시간을 걸었더니 집중력이 떨어져

좀 쉬고 싶어서 도로를 따라 걸었다.

 

지루할 것 같았던 도로변에서 꽃들을 감상하면서 걷는 즐거움이란...현호색 그 예쁜 자태에 빠져들게 된다.

 

어느새 양지꽃도 피었다.

 

제비꽃도 모습을 드러내고...

 

흰제비꽃에 이어 분홍제비꽃까지...

 

고개 넘어 내려다 보이는 반구대마을...

 

반구대 암각화를 둘러 보는 일정은 생략을 하고...

 

계곡의 절경속으로 빠져 든다.

 

처음 길에 느낀 감동보다는 좀 즐어들긴 했지만, 여전히 장엄하다.

 

반구서원을 지나 집청정에서 안행제 앞에서 주인장과 담소를 나눴다.

기러기를 닮고 싶은...기러기처럼 살고 싶은...주인장 부부의 마음이 담긴 현판... 안행제...

 

안항제에서 부터 연화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긴 능선길 등산로를 따라 올라 간다. 언젠가 한번 이 길을 걸어서 내려 왔던 기억을 더듬어 가며...

 

예상보다 시간이 지체되어 연화산 정상을 생략하고 연화산길 임도를 따라서 걷는다.

 

임도삼거리 이정표를 지나고...

 

부산일보 산&산의 연화산 등산로를 알리는 시그널 등이 바람에 나붓긴다.

 

해질녘이 되자 진달래가 더욱 더 곱게 물든다.

 

한실마을 가는 길 표지판을 지나고...

 

해는 저물어 가는데 곡연마을까지는 1시간이 걸린다는 표지판이 보인다. 그렇다고 이 아름다운 길에서 마음을 서두를 수는 없는 일이다. 천천히 천천히 자연을 음미하여 걷는다.

 

얼마나 허허로운가. 이 발걸음이...

 

임도를 벗어나 계곡을 건너 사연호둘레길로 접어 들었는데 일몰이 시작된다.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지점을 향해 내달렸다. 아~~~30초가 모자랐다. 해는 영남알프스의 산너머로 기울어 가고...

우리는 산넘어 가는 노을과 노을에 비친 호수를 바라보는 즐거움에 빠져 들었다.

 

나는 느낀다. 하루 중 내 몸과 마음은 석양무렵에 가장 자연과 깊은 교감이 이루어지고 가장 활기차다는 것을...

 

한 번의 산행으로 주변 지세를 충분히 익혔으니 다음에는 더 자유자재한 여행을 즐길 수 있게 되었음에 감사하며...

오후 09시20분에 입산하여 18시40분에 하산완료...

 

 

<길찾기 요약>

 

1. 곡연마을 곡연회관 앞 도로( 도로명: 사연길)를 따라 올라간다.

2. 우측으로 부추재배 하우스단지 사잇길(도로명:대방골길)을 따라 간다.

3. 대방교를 건너서 곧바로 좌측도로를 따라 약50m 직진후

4.우측방향 농로(탱자나무담장길)를 따라 들어간다.

5.외딴 주택 우측 농로를 따라 들어간다.

6.좌측으로 묘지가 보이는 지점에서 왼쪽으로 등산로를 따라 올라간다.(울산오바우 시그널 참조)

7.능선 안부(삼거리)에서 직진한다.

8.사연호가 보이는 둘레길을 지나서 계곡을 건너자마자 삼거리에서 우측길로 올라간다.

   (좌측길로 올라가도 임도와 만나게 되지만, 우측길로 가야 길 찾기가 쉬움)

9.첫번째 임도(망성임도)로 올라선 다음, 직진하여 계곡으로 소로를 따라 내려간다.

10.사연호와 연접한 외딴 농막을 지나서 좌측계곡을 따라 올라간다.

11. 마지막 길없는 구간을 울산오바우 시그널을 참고해서 능선 안부로 올라선 다음, 우측 능선길을 따라 간다.

12.무명봉에서 좌측 능선길을 따라 한실마을로 내려간다.

* 9번~12번까지는 사연호와 최대한 연접하여 한실마을로 가는 둘레길이며, 대체로 울산오바우 시그널을 참고하여

  걷게 된다. 사연호의 동쪽 안부를 따라 걷는 길이라고 보면 될 것 같고 길 찾기가 조금 어렵지만, 매력있는 길이다.

*9번 임도로 올라선 다음, 한실마을 가는 정상적인 등산로는 우측 방향의 임도를 따라 올라가면 한실재 못가서

좌측으로 한실마을 가는 길 표지판을 따라 내려가면 된다.

13.한실마을에서 한실길 도로를 따라 고개를 넘어서 반구대마을로 간다.

14.반구대마을에서 반구대안길을 따라 나간다.

15.반구대 암각화 갈림길을 지나고, 반구서원을 지나 집청정 안으로 들어간다.(부산일보 산&산 시그널 참조)

16.안항제(雁行齊) 건물 옆에서 등산로를 따라 올라간다.

17.임도사거리에서 직진하여 연화산 정상을 거쳐 임도삼거리 내려가거나, 임도사거리에서 우측 방향의 임도(연화산길)

   를 따라 간다.

18.운동시설이 있는 임도삼거리(이정표 있음)에서 직진(망성방향)한다.

19. 우측으로 반구대 방향으로 내려가는 등산로임을 알려주는 부산일보 산7산 시그널이 있는 지점을 지나고(임도직진)

20. 망성봉을 거쳐 임도로 내려 오거나, 임도를 계속 걸어서 한실재에서 우측임도(곡연마을 표지판 있음)를 따라 간다.

    (좌측임도는 욱곡마을로 내려가는 길이고 직진 등산로는 무학산가는 길이다)

21.우측 방향으로 한실마을 가는 길 이정표 지점을 지나고 (직진)

22. 9번 지점 임도사거리에서 좌측등산로로 내려간다.

     (직진하여 임도사거리에서 좌측등산로로 내려가도 8번 지점의 계곡삼거리로 내려가게 됨)

23. 위 9번지점에서 1번지점까지는 왔던 길을 되돌아가는 길이므로 역순으로 걸으면 된다.(원점회귀)

 

728x90